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신정을 "양력설"로, 구정을 "음력설"로...
2017년 01월 26일 22시 17분  조회:2920  추천:0  작성자: 죽림
공휴일 아닌 설이 이상했다.

구정(舊正)이라 부르는 것도 영…. 모처럼 친척 집 오가며 명절(名節) 음식 실컷 맛보기가 마음 같지 않았다. 웬만해선 뵙기 어려운 세종대왕이 그래서 더 반가웠다. 신정(新正)처럼 사흘 쉬면 그 만원짜리 세뱃돈 얼마쯤 늘어나려나. 어린 마음은 얄팍했다. 겨울방학이 끝났는데 설이 오면 심통마저 났다. 학교 가야 했으니까.

고등학생이 돼서야 알았던가. 이 신정·구정이 일제(日帝)의 간악(奸惡)한 노림이었음을. '식민지 조선의 얼이 담긴 전통을 내버려둘 수 없다. 설은 그냥 구정이라 불러라. 대신 우리처럼 양력 1월 1일을 신정 명절로 쇠라.'

되찾은 나라에서도 우리는 설을 오롯이 되찾지 못했다. 이중과세(二重過歲) 막는다며 정부가 여전히 양력 1월 1일을 명절로 강요했기 때문이다. 1985년에 겨우 '민속의 날'로 공휴일이 되긴 했지만, 제 이름을 공식으로 되찾은 때는 1989년. 악랄한 식민(植民) 지배기보다 긴 세월을 견뎌낸 것이다.

그 소중한 '설'이 또 이상해졌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사전이 지난해 8월 '설날'이라는 첫째 뜻풀이 다음에 새로운 뜻풀이를 달았는데…. '음력설과 양력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예나 지금이나 설은 명절인 정월(正月·음력 1월) 초하루를 말한다. 음력설이라는 표현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것이다.

물론 전통이 무슨 만고불변(萬古不變)은 아니다. 문제는 뜻풀이를 바꿀 만큼 개념이 바뀌었느냐는 점이다. 하도 궁금해서, 어느 학원 강사·학생 70명 남짓한테 물어봤다. 설 하면 양력 1월 1일이 떠오르느냐. 집에서 설로 쇤다는 한 명만 그렇다고 답했다. 이런 몇몇 집 말고 누가 양력 1월 1일을 설로 여기는지. 멀리 갈 것 없다. 근현대 100년 고초 속에서 쩡쩡히 살아온 걸 보면 알지 않는가. 양력설이라는 말은 그렇다 쳐도, 설은 그냥 설이다.

해가 바뀔 때면 "닭의 해(정유년)가 밝았습니다" 하는 것도 짚어볼 문제다. 갑자(甲子) 을축(乙丑), 육십갑자는 음력 기준이기 때문이다. 국가표준이 1896년에 이미 양력으로 바뀌었는데 세시풍속(歲時風俗)은 음력을 따르는 데서 오는 혼란이다. 새해는 왔는데 정유년(丁酉年)은 오지 않고…. 양력 현실과 음력 전통, 헷갈리는 공존(共存)의 끝이 어디일까.

/ⓒ 조선일보 /양해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70 사투리는 향토인의 살과 피이자 호흡이다... 2022-06-08 0 2681
1569 나는 어떻게 조선족이 되었나 / 남영전 2021-12-20 0 2334
1568 [문단소식]- 훈춘 김동진시인 "풍경소리" 울리다... 2021-09-07 0 2312
1567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05-29 0 2712
1566 하이퍼시 명언 21 / 최흔 2021-05-25 0 2762
1565 하이퍼시 명언 20 / 최흔 2021-05-25 0 2740
1564 하이퍼시 명언 19 / 최흔 2021-05-25 0 2504
1563 하이퍼시 명언 18 / 최흔 2021-05-25 0 2554
1562 하이퍼시 명언 17 / 최흔 2021-05-25 0 2514
1561 하이퍼시 명언 16 / 최흔 2021-05-25 0 2559
1560 하이퍼시 명언 15 / 최흔 2021-05-25 0 2679
1559 하이퍼시 명언 14 / 최흔 2021-05-25 0 2385
1558 하이퍼시 명언 13 / 최흔 2021-05-25 0 2628
1557 하이퍼시 명언 12 / 최흔 2021-05-25 0 2609
1556 하이퍼시 명언 11 / 최흔 2021-05-25 0 2522
1555 하이퍼시 명언 10 / 최흔 2021-05-25 0 2583
1554 하이퍼시 명언 9 / 최흔 2021-05-25 0 2624
1553 하이퍼시 명언 8 / 최흔 2021-05-25 0 2455
1552 하이퍼시 명언 7 / 최흔 2021-05-25 0 2454
1551 하이퍼시 명언 6 / 최흔 2021-05-25 0 2569
1550 하이퍼시 명언 5 / 최흔 2021-05-25 0 2496
1549 하이퍼시 명언 4 / 최흔 2021-05-25 0 2528
1548 하이퍼시 명언 3 / 최흔 2021-05-25 0 2563
1547 하이퍼시 명언 2 / 최흔 2021-05-25 0 2596
1546 하이퍼시 명언 1 / 최흔 2021-05-25 0 2661
1545 토템시에 대한 탐구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 김룡운 2021-05-24 0 2490
1544 토템과 민족문화 / 현춘산 2021-05-24 0 2275
1543 남영전 토템시의 상징이미지/ 현춘산 2021-05-24 0 2769
154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시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0 0 2802
1541 시인 최기자/ 소설가 허련순 2021-05-03 0 2551
1540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6 2021-03-02 0 2609
1539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5 2021-03-02 0 2700
1538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4 2021-03-02 0 2577
1537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3 2021-03-02 0 2908
1536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2 2021-03-02 0 2811
1535 조선족 시단과 시인들...1 2021-02-19 0 2922
1534 [시공부] - 투르게네프 산문시 2021-01-18 0 3116
1533 [시공부] - 김기림 시인 2021-01-18 0 3482
1532 [타산지석] - 늘 "이기리"... 꼭 "이기리"... 2020-12-28 0 3272
1531 토템시/ 범= 남영전, 해설= 현춘산(8) 2020-10-10 0 3149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